내일배움캠프_QAQC 트랙 1기/아티클 스터디

[내일배움캠프] 아티클 스터디 (5)

hyewonnnn 2024. 12. 31. 20:55

LG 에너지 솔루션

https://careers.lg.com/people/home/PeopleJuniorDetail.rpi?requestPeopleId=399

 

데이터에 생명력을 불어 넣는 정석진입니다.

영감을 주는 동료와 함께라면, the better life

careers.lg.com


 

LG 에너지 솔루션에서 셀 추적 시스템 인프라 구축 및 데이터 분석을 담당하는 직원의 인터뷰

  • 추적성을 기반으로 하는 설비에서 발생되는 각종 주요 데이터에 대해 ID 정보 연계와 더불어 개발된 기술에 대해 대표 라인 검증 및 수평 전개를 위한 기술 지원과 구축된 추적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의 1차적 분석 및 검증(데이터 엔지니어링)
  • ID 기반의 빅데이터 품질 분석 → Value Chain 전 영역에서의 추적성 구축
  • 품질 정보와 연결하여 분석 시스템의 효과를 극대화하며 데이터 분석 Infra 구축하는 역할 수행하는 조직
  • 올해 팀 목표는 파우치형 제품의 Global 전 Site 제조 라인에 대해 셀 추적 시스템 Infra 구축을 완료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설비/검사 정보에 대한 ID 기반 연계체계 구축을 통한 온라인화 작업을 마무리를 할 계획
  • 부서에 지원을 위해 필요한 역량 → 데이터 분석 역량커뮤니케이션 능력'
  • DX/AI를 접목하여 더 효율적인 데이터 분석 환경과 아키텍처를 만드는 것이 추후 목표
  • “LG 에너지 솔루션은 TAKER(받는 사람)보다 GIVER(주는 사람)가 더 많은 좋은 회사”

 

[ 주요 포인트 ]

  • 데이터 연결성 확보는 ‘단위’를 부여하는 일로 표현을 할 수 있다. When, Where, Why의 정의는 곧 데이터의 연결로부터 시작
  • 데이터 분석 역량 : 결과물이 데이터. 생성된 방대한 데이터에 대해 1차적 검증을 할 수 있어야 하므로 데이터의 정합성을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 역량 필수적. 귀납적 추론이 익숙한 사람 수월할 것. + 분석적 사고(“이 데이터가 왜 이렇게 발생되었지?”부터 “앞의 몇몇 현상으로 인해 발생이 되었구나.”)
  • 커뮤니케이션 역량 : 다른 사람을 설득시키고 이해하는 업무 중요. 협업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 Site의 특성과 업무의 우선순위 파악하기 위해 소통하고 협업하는 자세.

 

[ 핵심 개념 및 용어 정리 ]

  • 핵심 개념
  • Digital Twin : “현실에 존재하는 객체를 디지털 데이터 모델로 표현하여 똑같이 복제하고, 실시간으로 Interaction(상호작용)함” → 데이터를 주고받는 행위를 해야 하며 ‘데이터 인프라’라는 원천에서 모델링이 구성되어야 한다.
  • FeedBack(상호관계) & Feed-Forward(예측) : 목적 값이 목적에서 이탈될 때 맞도록 조작하여 이탈이 되기 전 징후를 포착해 제어으로써 사전에 문제를 조기에 해결하도록 함 → 모든 데이터는 ‘단위’가 존재하며 집합을 형성함으로써 징후를 알 수 있게 하는 매개가 된다.
  • 용어 정리
  • 조립 공정
    • Notching: 배터리 유형에 관계 없이 양극과 음극 탭을 만드는 공정
    • Lamination : 전극과 분리막을 일정한 길이로 자르고 합치하여 전극과 분리막을 밀봉하는 과정
    • Stracking: 파우치형에서 양극판과 음극판, 분리막을 층층히 쌓는 공정
    • Folding: 2가지 Type의 Bi-Cell(A-Type, C-Type)을 일정한 간격으로 투입하여 접는 법
    • Package : Cell에 리드를 부착한 후 알루미늄 Pouch에 넣어 밀봉하는 공정
  • 배터리의 형태
    • 원통형 : 원통형 배터리는 사이즈가 작으면서도 용량이 크고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순간적으로 높은 에너지 출력이 필요한 제품에 많이 사용된다. 대표적인 기기가 전동 공구, 로봇 청소기, 정원 공구 등이다.
    • 각형 : 각형 배터리는 알루미늄을 외장으로 사용한 캔 모양의 납작한 사각형 배터리다. 원통형 배터리에 비해 두껍고, 파우치형에 비해 외부 충격에 강하다. 알루미늄 캔으로 이뤄진 각형 배터리는 구조적 안전성이 높고 열 방출이 좋다. 내부 가스를 배출하는 벤트나 특정 전류가 흐를 때 회로를 끊는 퓨즈 등 각종 안전 장치가 있는 것도 장점이다.
    • 파우치형 : 파우치형 배터리는 원통형이나 각형 금속 외관과 다르게 얇은 필름 소재로 포장돼 있다. 외관 소재의 특성상 얇고 넓은 배터리를 만들 수 있어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기 쉽다. 공간 효율도 높아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도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슬림한 IT 기기에 우선적으로 활용됐다. 다만 외관이 단단하지 않다는 것은 파우치형 배터리의 치명적인 단점이다. 이 때문에 모듈이나 팩으로 구성할 경우 이를 보완하는 기술이 필요해 원통형이나 각형 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이 많이 든다.

 

 

[ 관련 사례 ] 

  • 첨단바이오의약품 데이터 완전성
< 첨단바이오의약품 데이터 완전성 안내서_식약처 >

1) 데이터 완전성 원칙
 - 데이터 생성과 기록
 - 데이터 입력
 - 데이터 완전성(ALOCA+)
 
 즉, "데이터는 완전하고 일관되며 정확하여야 하고, 출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판독이 가능하고, 발생과 동시에 기록된 원본이거나 사본을 말한다." 또한, 데이터의 전주기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2) 적용 범위
 -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제5호에 해당하는 의약품을 목적으로 함
 - 세포치료제
 - 유전자치료제
 - 조직공학제제
 - 첨단바이오융복합제제
 -그 밖에 세포나 조직 또는 유전물질 등을 함유하는 의약품

    *참고 문서

첨단바이오의약품+데이터+완전성+안내서[민원인+안내서].pdf
0.8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