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배움캠프_QAQC 트랙 1기/아티클 스터디

[내일배움캠프] 아티클 스터디 (8)

hyewonnnn 2025. 1. 24. 01:55

삼성바이오 "2027년 6공장 완공, 96만리터 확보…압도적 초격차"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11508175166933

 

삼성바이오 "2027년 6공장 완공, 96만리터 확보…압도적 초격차" - 머니투데이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또 한 걸음 앞서나가겠단 계획을 글로벌 무대에서 공식 발표했다. 최첨단 설비로 꾸린 18만리터 규모의 5공장을 오는 4월 완공할 계획이다. 5공장 완공 뒤 총 생산능력은 78만

news.mt.co.kr


[ 요약 ]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첨단 설비로 꾸민 18만리터 규모의 5공장을 오는 4월 완공할 계획이다.
  • 5공장을 완공한 뒤의 총 생산능력은 78만 4000리터로, 이는 경쟁사를 압도할 수 있는 제조 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압도적인 고품질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으로 지난해 매출은 상장 시점인 2016년에 비해 약 15배 성장하였다.
  • 항체(mAb)와 완제의약품(DP), 메신저리보핵산(mRNA) 분야를 넘어 ADC(항체약물접합체)까지 생산 영역을 넓힐 예정
  • 기업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품질을 강화하기 위해 독자적인 포탈을 구축하는 등의 디지털 전환을 지속할 예정이고,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한데 모아 이를 여러 관리 시스템에 연계할 예정이다.
  • 미래성장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4E를 기반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바이오 기업으로 올라서겠다는 ‘비전 2030’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 주요 포인트 ]

  • 6공장까지 완공할 예정이며, 이렇게 됐을 때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총 생산능력은 96만 4000리터로, 세계 1위 CDMO의 ‘초격차’를 유지할 것이다.
  • ADC뿐 아니라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 등 세포·유전자치료제(CGT)와 같은 신규 모달리티(치료접근법) 분야에서도 신속한 공급이 가능한 엔드-투-엔드(End-to-End) 서비스 체계를 구축할 예정
  • 기업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품질을 강화하기 위해 독자적인 '고객 포탈'을 구축하는 등 디지털 전환을 지속할 것
  •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한데 모으는 '데이터 레이크'(Data Lake. 데이터 호수)를 구축하고, 이를 생산관리시스템(MES)과 품질관리시스템(QES), 운영관리 시스템(OES)과 연계하는 방식
  • ADC뿐 아니라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 등 세포·유전자치료제(CGT)와 같은 신규 모달리티(치료접근법) 분야에서도 신속한 공급이 가능한 엔드-투-엔드(End-to-End) 서비스 체계를 구축할 예정”
  •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자동화 생산 환경을 구축하고, 현실과 가상현실을 연계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통해 생산 조건을 예측하고 개선할 수 있다.
  • 4E는 고객만족(Customer Excellence), 우수한 운영 효율(Operational Excellence), 최고 품질(Quality Excellence), 뛰어난 임직원 역량(People Excellence)을 의미한다.

 

[ 핵심 개념 ]

  • 바이오 기업의 생산 규모 : 바이오리액터(생물반응기 → 효소나 미생물, 동/식물의 세포 등 생체촉매를 사용해, 생물의 체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을 체외에서 일어나게 하는 장치)의 생산 규모
  • 엔드-투-엔드(End-to-End) 서비스 : ADC뿐 아니라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 등 세포·유전자치료제(CGT)와 같은 신규 모달리티(치료접근법) 분야에서도 신속한 공급이 가능한 서비스 체계

 

[ 용어 정리 ]

  • ADC(항체약물적합체) : 표적 항암 치료제의 대표적인 예, 종양 세포를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약물, 항체와 세포 독성을 가진 약물을 결합시켜 암 세포에 선택적으로 독성 약물을 전달함으로써 암을 치료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
  • CDMO(위탁개발생산) : 약품의 개발과 제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위탁생산(CMO)이 단순 생산에 그쳤다면, 위탁개발생산(CDMO)는 연구개발, 임상, 생산 단계 등 전과정에 걸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

 

[ 실무 적용 사례 ]

[ 셀트리온의 CDMO ]
  • 셀트리온은 미국 FDA의 cGMP 인준을 받은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시설 및 품질관리 시스템을 바탕으로 초기물질 개발부터 임상, 허가, 생산까지 바이오의약품 사업 전 과정에 대한 One-stop 서비스를 제공
  • 개발 : 항체 바이오시밀러 및 바이오 신약 개발로 축적한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능력
  • 임상 : 소규모부터 대규모 글로벌 임상까지 다양한 규모의 임상 경험
  • 허가 : FDA 및 EMA 등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다수의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판매허가 획득
  • 생산 : 비임상물질부터 상업 생산까지 다양한 생산 규모에 대응할 수 있는 생산 시설
[ 관련 사례 ]
  1.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성 분석 : 바이오시밀러의 개발은 오리지널 의약품의 이화학적 특성, 면역학적 특성, 생물학적 특성 및 불순물 등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바이오시밀러의 주요 품질평가인자(Critical Quality Atrribute, QCA)를 밝히는 데 사용된다.
  2. 세포주 개발 : DNA 염기서열을 발현 벡터에 삽입하고, 유전형질주입기술(transfection)을 통해 세포에 주입하여 안정적 발현을 보이는 세포주를 선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15,000개 이상의 단일 클론을 스크리닝하여 바이오시밀러 생산에 적합한 최종 세포주를 선별한다.
  3. 생산 공정 개발 : 최종 세포주가 선별되면, 바이오시밀러로서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lab scale(실험실 규모)에서의 생산 공정 개발 단계로 넘어간다. 이 과정에서 세포 배양 조건 개선을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정제 과정을 통해 불순물은 감소시키게 된다.
  4. 생산 규모 확대(Scale-Up) : 대량 생산 규모에서의 품질을 만족하기 위해 파일럿 생산 규모에서는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광범위한 품질 평가가 이루어진다. 대량 생산 규모에서 세포주가 lab scale 단계와 동일하게 반응하는지 주요 품질 특성을 신중하게 모니터링하고 통제 전략을 통해 제품 품질이 유지되도록 한다.
  5. 최종 제품: 의약품의 제형도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최종 의약품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의약품 제조 품질 관리 기준(cGMP)에 따라 생산되어야 하며, 생산 과정이 규제 기관 요건에 부합되어야 한다.
[ CDMO 프로세스 ]
  1. 신약 후보 물질 선별
  2. 세포주 개발
  3. 세포 배양 및 정제 공정 개발
  4. 분석법 개발 및 품질 검증
  5. 제형 개발
  6. 임상·비임상 물질 생산
  7. 임상시험 계획
  8. 허가 서류 작성
  9. 상업 생산